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쇠구슬과 깃털을 높은 곳에서 떨어뜨리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중력의 크기는 (=mg) 질량에 비례합니다. 질량이 클수록 물체의 무게는 증가하기 때문에 더 많은 힘이 작용합니다. 쇠구슬 하고 깃털을 동시에 높은 곳에서 떨어뜨리면 당연히 쇠구슬이 더 빨리 떨어집니다. 하지만 진공상태에서는 어떻게 될까요? 정답: 같은 속도로 떨어진다. 잉?? 자~ 뉴턴의 운동 제2법칙은 F=ma입니다. 이것을 중력의 크기에 대입하면 mg=ma입니다. 즉, 물체의 가속도는 물체의 질량과 무관합니다. 정리하면 중력의 크기는 서로 다르지만! 가속도가 서로 같기 때문에 같은 속도로 떨어집니다. 하지만 왜? 실제상황에서는 쇠구슬이 더 빨리 떨어지죠? 그건 공기에 의한 저항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더보기
지구, 달, 행성들의 질량은 어떻게 알지? 우리는 저울을 통해 무게라는 것을 측정합니다. 사실 무게와 질량은 다른 개념입니다. 무게: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 질량: 변하지 않은 물질의 양 밤에 보이는 행성 그리고 달의 질량은 어떻게 측정할까요? 정답: 직접 측정은 불가능하지만 간접적으로 측정이 가능합니다. 지구의 질량 측정 방법 몇 가지 법칙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F = GMm/R2 F =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 G= 만유인력 상수 M=물체의 질량 m=다른 물체의 질량 R= 두 물체의 질량중심 사이의 거리 자~ 뉴턴의 제 2 법칙 F=ma를 1번 식에 대입하면 가속도를 알 수 있겠죠? a=GM/R2 지구 표면에서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면 지구의 질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다른 행성은 어떻게 구하지? 이번에는 케플러의 제 3 운동법칙을 알고.. 더보기
헷갈리기 쉬운 유기산의 세기 다들 잘 알고 있는 유기산으로 carboxyl group을 가지는 아세트산이 있다. 헷갈리기 쉬운 산의 세기를 정리해 보자. 왼쪽 아세트산(초산)과 오른쪽 브롬화 초산은 산의 세기가 다르다. 직관적으로 누가 더 센 산일까? 정답: 브롬화 초산 해설: 산의 세기는 이온화하려는 경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H보다 전기 음성도가 큰 Br은 자기 쪽으로 전자를 끌어당긴다. 아래 그림처럼 이온화하려는 경향이 커져 proton이 많이 생성된다. 전기 음성도 원자나 분자가 화학 결합을 할 때 전자를 당기는 힘 즉, 전기 음성도가 클수록 더 많은 전자를 가져옴! 아래 표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전기 밀도 위의 그림처럼 벤젠고리를 가지는 유기산이 이온화되면 아세트산보다 더 강한 산이다. anion상태의 구조가 .. 더보기
스키장 인공 눈은 어떻게 만들까? 겨울철 스포츠 하면 가장 먼저 스키장이 생각납니다. 눈이 많이 내리지 않은 곳에서도 스키장이 있는 것을 종종 발견합니다. 대부분 스키장에서는 인공 눈을 사용합니다. 원리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원리 인공 눈을 만드는 제조기에 수증기와 압축 공기가 약 20 bar로 채워져 있습니다. 압축된 유체가 팽창을 하면서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이러면서 인공 눈이 만들어집니다. 압축된 유체 -> 부피 팽창 -> 온도 하락 -> 수증기가 응축 -> 인공 눈 생성 - 열역학 1법칙 위의 원리는 열역학 1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내부 에너지의 변화 = 열 + 일 유체가 팽창할 때 열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내부 에너지 변화가 일과 동일합니다. 일이 음수이기 때문에 기온이 떨어집니다.! 어렵나요? 에어컨 원리와 동일.. 더보기
방귀는 왜 냄새가 나는가? 방귀는 장 속에 있는 기체가 항문을 통해서 나오는 현상입니다. 평균적으로 200ml의 가스가 대장과 소장에 있다고 합니다. 가스 성분 질소 60%, 수소 20%, 산소 10%, 이산화탄소 9%로 구성되어 있고, 메탄과 황화수소 등 400 여종이 있다고 합니다. 방귀는 왜 생기는가? 식품을 섭취하면 분해가 되어야 하는데 분해할 효소가 없어서 소화가 덜 된 상태로 대장에 가게 됩니다. 대장 내에서 발효가 되면서 가스가 생성됩니다. 냄새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혹은 황 성분이 냄새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린내가 나는 것은 메탄이라고 합니다. 천연가스의 대부분은 메탄인 거 아시죠? 방귀도 천연가스처럼 타면 열량을 날 수 있습니다. - 자신의 섭취한 음식물에 따라 방귀 냄새와 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더보기
카페인의 역할이 뭘까? 아마도 카페인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단연코 커피일 것이다. 일단 커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자. 어릴 적으로 돌아가 보면 그 당시에는 다방? 정도로 차를 마시는 곳이 있었고, 지금처럼 카페가 우후죽순처럼 생기지는 않았다. 한국인의 연간 커피 소모량 2021년 11월 8일 중앙일보에 나온 내용을 참고해보자! 세계 평균보다 약 2.7배 많이 소비하고 있다. 그렇다고 상위 10위 안에 드는 정도는 아니다. 카페인의 영향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면 카페인의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1. 개인차가 있으나 불면 작용, 불안 작용을 일으킨다. (커피 5잔을 마셨을 경우) 2. 일반적인 섭취량에서는 각성 작용, 이뇨 작용, 강심 작용, 골격근 작용을 일으킨다. - 커피 마시면 잠이 오지 않고, 소변이 마려운 .. 더보기
음주 측정기 원리가 뭘까? (산화-환원반응) 생활 속에서 자주 접하는 음주 측정기가 산화-환원 반응으로 만들어졌다는 거 아시나요? 측정기에 운전자의 숨을 불어넣으면 안에 있던 다이크로뮴산 포타슘, 황산과 반응하여 황산 크로뮴을 생성합니다. 식 3CH3CH2OH + 2KrCr2O7 + 8H2SO4 --> 3CH3COOH + 2Cr2(SO4)3 + 2K2SO4 + 11H2O 다이크로뮴산: K2Cr2O7 황산 크로뮴: Cr2(SO4)3 황산 포타슘: K2SO4 에탄올이 아세트산으로 산화되고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의 크로뮴(VI)가 환원되어 녹색 (III) 이온이 됩니다. 흡광도를 통해 크로뮴의 농도를 알게 되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질량 백분율로 계산이 됩니다. 최근에 사용하는 모델은 원리는 비슷합니다. 백금 양극판에 아세트산이 닿으면 전류가 흘러서 정량값.. 더보기
마그네슘은 어떻게 생산할까? [Mg] 마그네슘은 우리 신체에서 네 번째로 많은 무기질입니다. 60%는 뼈에 있고 나머지 40%는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에 존재합니다. 산업적으로는 구조물, 합금, 전지, 화학합성 등에 사용됩니다. 바닷물 1kg당 마그네슘이 약 1.3g정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눈떨림이 일어나기도 함ㅠ) 천연의 진정제로 정신 흥분 가라앉히는 작용을 하는 마그네슘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정답 마그네슘은 바닷물에서 얻습니다! 침전반응, 산-염기 반응, 산화-환원 반응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석회석 (CaCO3)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산화 칼슘(CaO)을 얻습니다. CaCO3 -> CaO(s) + CO2(g) 2. 산화 칼슘을 바닷물로 처리 CaO(s) + H2O(l) -> Ca2+(aq) + 2OH-(aq).. 더보기

반응형